📝한눈에 보는 정보
- 틱톡이나 유튜브 쇼츠 같은 숏폼 영상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는 10대의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사회적 불안을 증가시킨다
- 연구는 학교에서 휴대폰 사용이 제한된 학생들은 이를 보상하듯 자기 전 숏폼 영상을 과도하게 시청하며, 이로 인해 수면 패턴이 무너진다고 지적한다
- 숏폼 영상 중독은 회피와 디지털 콘텐츠 의존을 반복시키는 악순환을 만들어, 10대의 사회적 불안을 더욱 악화시킨다
- 스마트폰 사용은 10대를 유해한 전자기장(EMF)에 노출시키며, 이는 세포 에너지를 방해하고 장기적으로 생식 건강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 효과적인 디지털 디톡스 방법에는 스마트폰 없는 구역을 정하고, 운동이나 창의적인 취미 같은 대체 활동을 장려하며, 현실적인 사용 제한을 점진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포함된다
🩺 Dr. Mercola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경쟁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한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한다. 최신 트렌드는 바로 숏폼 영상으로, 이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제 숏폼 영상은 유튜브 쇼츠, 페이스북 릴스, 틱톡 등 인기 플랫폼 전반에 퍼져 있다. '포브스(Forbes)'의 보도는 이러한 부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주의 집중 시간이 그 어느 때보다 짧아진 요즘, 빠르게 주의를 끌고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가 시청자의 관심을 끌고 유지할 가능성이 더 높다. 숏폼 영상은 짧은 시간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소비하고, 즐기고, 공유할 수 있도록 맞춤화돼 있다.”
숏폼 콘텐츠는 소비와 몰입이 쉬운 반면, 아직 충분히 조명되지 않은 한 가지 단점이 있다. 바로 10대 청소년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다. 이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가 진행됐으며, 해당 결과는 'BMC 심리학(BMC Psychology)'에 발표됐다.
숏폼 영상이 10대의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중국에서 진행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숏폼 영상 중독이 수면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사회적 불안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진은 2023년 6월부터 7월 사이 산둥성 내 세 개 고등학교에서 1,62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작했다.
참가자들에게는 야스나 밀로셰비치-조르제비치(Jasna Milošević-Đorđević) 박사가 개발한 소셜미디어 의존 척도를 수정한 설문지가 제공됐으며, 응답은 낮은 점수에서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고, 점수가 높을수록 중독 수준이 높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설문지는 사회적 불안과 수면의 질과 관련된 문항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 역시 기존 평가 도구를 바탕으로 조정됐다.
분석 결과, 연구진은 수면의 질, 사회적 불안, 숏폼 콘텐츠 소비 간의 상호 작용을 수치화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학교에서는 휴대폰 사용이 금지된 경우가 많아, 청소년들이 이를 보상하려는 듯 잠들기 전 숏폼 영상을 몰아보며 수면의 질이 저하된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밤 시간대 디지털 기기 사용의 또 다른 중요한 영향을 강조했는데, 바로 화면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가 수면에 필수적인 멜라토닌 생성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전자기기가 발생시키는 고주파 전자기장은 뇌의 정상적인 혈류와 대사 기능을 방해하여, 청소년의 수면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필자의 글, '수면을 망치는 다섯 가지 습관'에서도 언급했듯, 자기 전 스마트폰을 스크롤하는 습관은 결국 잠들기 더욱 어렵게 만든다. 그 이유는 눈이 빛을 인지하면, 생체 시계를 조절하는 시상하부의 시교차상핵(SCN)으로 신호를 보내기 때문이다. 이 신호는 체온, 수면 욕구, 식욕 등에 연쇄적인 영향을 주며, 결국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늘린다.
불충분한 수면은 결국 10대 청소년의 정신과 신체 모두에 악영향을 미친다. 올리버 드레이크포드 테라피(Oliver Drakeford Therapy)에 따르면, 수면 부족은 다음과 같은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 인지 기능 저하 — 수면 부족은 10대의 기억력, 집중력, 의사결정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국 수업을 따라가기 어려워지고, 성적이 떨어질 수 있다.
- 정신 건강 문제 — 10대는 우울증이나 불안 같은 기분 장애에 걸릴 위험이 더 높으며, 이는 사춘기 특유의 정신적 불안정성과 맞물려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 신체 건강 문제 — 수면 부족은 면역력을 약화시키고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쉽게 병에 걸릴 수 있으며, 성장하면서 더 다양한 건강 문제를 겪을 가능성도 높아진다.
숏폼 영상이 10대의 정신 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진은 사회적 불안을 “자신의 말이나 행동이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서 겪게 되는 현상”이라고 정의했다. 이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는 숏폼 영상 시청이 청소년의 정신 건강 악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설명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숏폼 영상에 의존하는 청소년은 영상 시청에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그 결과 학업이나 일상적 대인관계에 집중하기 어려워지며, 이는 성적 저하나 인간관계 단절 같은 문제로 이어지고, 결국 청소년의 사회적 불안을 유발하게 된다.”
숏폼 영상은 시간 소모가 크고 고립을 심화시키는 활동일 뿐 아니라, 시청하는 콘텐츠의 성격 역시 매우 중요하다. 예를 들어, 물질주의적 성향이 강한 부정적인 콘텐츠는 상향 비교를 유도한다.
그 결과, 청소년은 우울감이나 질투심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 결국 이러한 영상은 청소년이 실제로 살아가는 세계와는 전혀 다른 현실을 보여주며, 이 괴리감이 사회적 불안을 키우는 것이다.
숏폼 영상에 대한 의존은 청소년의 사회적 기술도 저해한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러한 영상을 자주 시청하는 청소년은 “불리한 사회적 환경에서 오는 압박감”을 두려워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그 욕구를 온라인 콘텐츠로 대체하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문제는 이로 인해 숏폼 영상 시청이 더 늘어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사회인지이론에 따르면, 사회적 불안을 지닌 개인은 주변 환경과 타인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기 쉽다. 사회적 지지 기반이 약한 이들은 사회적 회피 성향이 더 심하며, 집단에 융화되기 어렵거나 오히려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들은 숏폼 영상 시청을 통해 소속감과 사회적 연결을 얻으려 하며, 결국 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스마트폰은 아이들을 전자기장(EMF)에 노출시킨다
자녀의 수면을 방해하고 사회적 불안을 악화시키는 것 외에도, 스마트폰 과다 사용은 아이들을 과도한 양의 전자기장에 노출시킨다. 필자의 최신 저서 '세포 건강을 위한 가이드: 장수와 행복의 과학을 풀다'에서는 인위적인 전자기장이 세포 에너지를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전자기장이 체내에 침투하면, 세포 내 칼슘 이온 유입을 증가시켜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방해하게 된다. 세포 내 칼슘 농도가 높아지면 유해한 활성산소가 생성되고, 이는 산화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기전에 대해 더 깊이 알고 싶다면 필자의 책을 참고하길 바란다. 전자책은 이미 출간되었다.
세포 에너지뿐 아니라 자녀의 생식 건강 또한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는다. 2023년의 한 연구에 따르면, 하루 20회 이상 휴대폰을 사용하는 남성은 주 1회 이하로 사용하는 남성에 비해 정자 수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자녀의 전자기장 노출을 줄이고 야간 수면의 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전략이다.
- 밤에는 침실의 전기를 차단한다. 이 방법은 침실 벽 속 전선에서 발생하는 전기장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단 옆방과 인접해 있을 경우 효과가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기장 측정기를 사용해 옆방의 전기도 함께 차단해야 할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배터리 구동형 알람 시계를 사용한다. (이상적으로는 빛이 없는 알람 시계로 사용)
- 형광등은 백열등으로 교체한다. 가능하다면 집 전체의 형광등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광등은 유해한 빛을 내는 데 그치지 않고, 가까이 있기만 해도 전류가 몸으로 전달될 수 있다.
- 와이파이를 꼭 사용해야 한다면, 사용하지 않을 때는 꺼두고 특히 수면 중인 밤에는 반드시 차단한다. 이상적으로는 집 전체를 유선 연결로 바꾸어 와이파이를 완전히 없애는 것이 좋다. 노트북에 이더넷 포트가 없다면, USB 이더넷 어댑터를 이용해 유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 취침 최소 한 시간 전(가능하다면 그보다 더 일찍)부터는 휴대폰이나 기타 전자기기 사용을 피한다.
자녀를 위한 디지털 디톡스 프로그램 수립
자녀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을 쓰고 있다고 느낀 적이 있는가? 만약 자녀가 점점 더 위축되고 사회적 불안을 겪는 모습을 보인다면, '디지털 디톡스'를 시작하는 것이 현명하다. 뉴욕대학교의 사회심리학자 조너선 하이트(Jonathan Haidt) 박사는 자녀의 스마트폰 중독을 끊기 위해 다음 네 가지를 '사회적 기준'으로 삼을 것을 권장한다.
1. 고등학교 입학 전(약 14세 이전)에는 스마트폰 금지
2. 16세까지 소셜 미디어 계정을 허용하지 않음
3. 학교에 있는 동안 전화 사용이 제한되거나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전화 없는 학교
4. 현실 세계에서 더 많은 자율성과 자유 놀이, 책임감을 부여할 것
하이트 박사는 “이 네 가지를 실천하면, 1~2년 내에 이 문제를 실제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기술을 없애자는 것이 아니라, 사용 시점을 늦추자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소셜미디어의 영향을 피할 수 없는 것은 어른도 마찬가지이므로, 이 조언을 성인 역시 조정하여 실천하는 것이 권장된다.
'근거 기반 간호에 관한 세계의 시각(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특히 청년층 이상 성인에서 소셜미디어 사용은 우울, 불안, 외로움을 증가시킨다.
자녀의 디지털 디톡스를 시작하려면,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점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자녀에게 하루 중 스마트폰 없이 보낼 수 있는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 물어보고, 그 시간을 출발점으로 삼아라. 또 다른 방법은 자녀가 현재 어떤 앱에 가장 많은 시간을 쓰고 있는지 파악한 후, 그에 맞는 사용 제한을 설정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기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공간을 만들기 위해, 식탁이나 자녀의 방(특히 잠자기 전과 아침에 일어났을 때)을 '폰 금지 구역'으로 지정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개인 프로젝트나 취미 활동을 할 때는 전자기기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면, 스마트폰과의 거리감을 더욱 키울 수 있다.
자녀가 새롭게 얻은 자유 시간을 즐길 수 있도록 격려하라
디지털 디톡스를 하면 자녀의 일상에 자연스럽게 빈 시간이 생긴다. 예전엔 소셜미디어가 차지했던 이 시간을 보다 만족스러운 활동으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실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아이디어다.
- 신체 활동에 참여하기 — 운동팀에 가입하거나 자전거 타기, 매일 걷기, 요가 등을 시도한다.
- 창의적인 취미 찾기 — 악기 연주를 배우거나 그림을 그려보고 글쓰기를 시작한다.
- 자연 속에서 시간 보내기 — 등산을 가거나 공원에서 소풍을 즐기고, 텃밭을 가꾼다.
- 친구들과 직접 만나기 — 보드게임 밤이나 스터디 모임을 열거나, 단순히 만나 함께 시간을 보낸다.
- 새로운 기술 배우기 — 요리나 사진, 외국어를 배운다.
- 마음 챙김 실천하기 — 명상이나 일기 쓰기를 통해 스스로의 감정을 돌아본다.
- 책 읽기 — 자녀와 함께 지역 도서관을 방문해 새로운 장르나 작가를 찾아본다.
- 지역사회 봉사활동 참여하기 — 자녀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분야의 봉사활동을 찾아본다. 한 연구에 따르면, 봉사활동은 우울증을 겪는 청소년에게 강력한 개입 효과를 지닌다고 한다.
🔍출처 및 참조
- Forbes, March 19, 2024
- BMC Psychology volume 12, Article number: 369 (2024)
- BMC Psychology volume 12, Article number: 369 (2024), Abstract
- BMC Psychology volume 12, Article number: 369 (2024), Measurement Instruments
- BMC Psychology volume 12, Article number: 369 (2024), Correlation analysis of short-form video addiction, social anxiety, and sleep quality
- Sleep Foundation, “Sleep Drive and Your Body Clock”
- Oliver Drakeford Therapy, September 2, 2024
- Fertility and Sterility, Volume 120, Issue 6, December 2023, Pages 1181-1192, Abstract
- Children’s Health Defense, August 13, 2024
- Worldviews Evid Based Nurs. 2024 Aug;21(4):345-394, Abstract
- Very Well Mind, October 31, 2023
- Front Psychol. 2021 May 5;12:642910, Abstract